1. Class 컴포넌트
- componentDidUpdate 사용
componentDidUpdate(prevProps, preState) {
if (prevProps.value !== this.props.value) {
toDo();
}
}
-> props 안에 들어 있는 value 값이 바뀔 때만 특정 작업을 수행
2. function 컴포넌트
- useEffect 사용
useEffect(() => {
console.log(name);
}, [name]);
-> 두 번째 파라미터로 전달되는 배열 안에 검사하고 싶은 변수를 넣어서 작업을 수행
리액트를 다루는 기술 책 공부하다가 나중에 쓰일 것 같아서 블로그에 정리해놓기.. 공부 열심히 해야징
'Reac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React typescript React.ChangeEvent<HTMLInputElement> (0) | 2021.12.29 |
---|---|
React map() 함수 정리 (0) | 2021.12.22 |
전자정부 프레임워크 front-end react (0) | 2021.12.17 |
axios 개념과 http method 종류 (0) | 2021.11.16 |
[React]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 Redux와 Mobx (0) | 2021.11.12 |